본문 바로가기

일상/미니미 소쿠리7

임신 준비 ] 자연임신 - 배란유도제 처방 / 클로미펜 1. 배란유도제 처방 - 클로미펜 정, 페마라 정   1) 클로미펜 정   2) 페마라 정2. 마치며 배란유도제 처방 - 클로미펜 정, 페마라 정 지난 번 진료에서, 배란 호르몬이 15는 나와 줘야 된다고 하셨는데 저는 검사 결과를 보니 10도 안 되더라고요.그래서 다음 내원할 때는 배란유도제를 처방해 주겠다고 하셨습니다.   처방받아온 약은 클로미펜이라는 약이었습니다.원래 이거 말고 다른 약이 더 효과가 좋은데 (페마라), 클로미펜을 먼저 한 번은 써야 페마라가 보험 적용이 된다고 하시더라고요.그래서 우선 클로미펜을 복용해 봅니다.  클로미펜 정  클로미펜 복용방법은 간단해요.생리 시작일 기준으로 5일째부터 5일간 일정한 시간에 먹으면 됩니다.저는 밤에 영양제 먹을 때 같이 먹었습니다. 가끔 부작용이 .. 2024. 9. 30.
임신 준비 ] 자연임신 - 인트라리피드 (콩주사) 맞기 / NK cell 수치 1. 인트라리피드 (콩주사)2. 마치며 인트라리피드 (콩주사) 지난 번엔 대전 방문 때문에 지정해주신 날짜보다 진료 일자를 미루게 되었는데...결론적으로 그 날 배테기 수치가 9.1로 피크가 되면서 그냥 피크 날짜에 진료받은 사람이 됐습니다.   올 때마다 느끼지만 참 건물 구조가 특이합니다.우선 이 날도 오자마자 채혈부터.  지난 번 피검사에서 NK 수치가 살짝 높게 나와서 콩주사라는걸 처방해 주셨습니다.NK cell 수치는... 제가 이해한 바로는 면역과 관계된 수치입니다.높을 수록 면역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는 것 같아요.그런 관점에서는 좋아 보일 수 있지만, 임신 준비의 영역에서는 너무 강한 면역력이 오히려 착상에 방해가 될 수 있어 수치를 낮춰주는 거라고 하셨습니다. 비급여라서 6만원정도 들었습.. 2024. 8. 30.
임신 준비 ] 자연임신 - 배란 테스트기 사용법 / 스마일 배테기, 스마일 리더 사용법 1. 스마일 배란 테스트기 (배테기)   1) 스마일 배란테스트기 (배테기) 파는 곳   2) 배테기 사용 기간   3) 스마일 배테기, 스마일 리더 어플 사용법2. 마치며 스마일 배란 테스트기 (배테기) 지난 번 가임력 검사로 저는 나이보다 난소 나이가 꽤 높게 나왔었고, 남편은 완전히 정상!아무래도 막연하게 둘째까지는 생각이 있었는데...저도 나이가 적은 편은 아니고, 난소 나이는 더 높다고 하니 행여나 무의미하게 시도만 하다가 시기를 놓칠까봐 검사받았던 그레이스 병원에서 진료를 병행하기로 합니다. 지난 번에 검사했을 때 난소 나이가 높게 나와서 폐경호르몬에 대한 체크를 해봐야 할 것 같으니 생리 시작일로부터 이틀 후에 오라고 하셨었어요.그런데 애매하게 금요일 밤 ~ 토요일 아침에 시작하기도 했고, .. 2024. 8. 14.
임신 준비 ] 산전검사 받아보기 - 4. 공공보건포털 가임력 검사비 지원금 청구하기 1. 공공보건포털   1) 가임력 검사비 지원금 청구하기   2) 신청 현황 조회 및 입금2. 마치며 공공보건포털 지난 포스팅에서 공공보건포털 사이트에 혈액검사 결과가 올라온다고 말씀드렸는데, 가임력 검사비 청구도 마찬가지로 공공보건포털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. https://sweets-sokuri.tistory.com/entry/%EC%9E%84%EC%8B%A0-%EC%A4%80%EB%B9%84-%EC%82%B0%EC%A0%84%EA%B2%80%EC%82%AC-%EB%B0%9B%EC%95%84%EB%B3%B4%EA%B8%B0-3-%EB%B3%B4%EA%B1%B4%EC%86%8C-%EC%82%B0%EC%A0%84%EA%B2%80%EC%82%AC-%EA%B2%B0%EA%B3%BC%EC%A7%80.. 2024. 8. 5.
임신 준비 ] 산전검사 받아보기 - 3. 보건소 산전검사 결과지 확인 / 해석 1. 공공보건포털   1) 검사 결과지 확인하기   2) 혈액검사 결과지 해석하기2. 마치며 공공보건포털검사 결과지 확인하기 월요일에 보건소 산전검사를 받을 때, 목요일 오후 3시 넘어서 공공보건포털 사이트에서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고 알려주셨습니다.저는 퇴근하고 직접 방문하면 보건소가 끝나 있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확인해 봅니다.  우선 초록창에 공공보건포털을 검색해서 들어갑니다. https://www.e-health.go.kr/ e보건소 공공보건포털보건복지부 운영 온라인민원 서비스,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, 의료비지원, 동네보건소정보, 보건교육신청 등 안내www.e-health.go.kr 귀찮으면 위 링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.  오른쪽 아래에 진료, 검사현황 조회에서 검진/검사결과 조회 클릭!   왼쪽.. 2024. 7. 26.